네오위즈, 케이팝 팬덤 플랫폼 팹(Fab) 운영 자회사 네오위즈랩 적자 끝에 매각 – 하이브의 위버스와 SM엔터테인먼트의 버블만 팬덤 플랫폼 운영

네오위즈, 적자 후 자회사 네오위즈랩 매각 – 네오위즈랩은 K팝 팬덤 플랫폼 팹 운영 – 하이브 위버스와 SM엔터테인먼트 버블만 팬덤 플랫폼 운영 – 위버스, MAU 1천만 회복, 버블 매출 감소

1. 네오위즈는 인수 후 6년 만에 자회사 네오위즈랩(구 엠피랩)을 매각했다.

네오위즈랩은 K팝 팬덤 플랫폼인 Fab를 운영하는 자회사로 네오위즈의 새로운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추진하고 있었다.

2. 네오위즈는 2018년 특수관계자인 네오위즈인베스트로부터 EP랩 지분 100%를 인수하고 ‘온라인 음원 서비스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이후 팬덤 ​​플랫폼 서비스가 론칭됐다.

2019년에는 AR 기술을 활용한 포토카드 서비스 ‘모잉’을 출시했고, 2021년에는 플랫폼 토핑을 출시했지만 좋은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3. 2022년, K팝 시장의 성장에 맞춰 팬덤 플랫폼 Fab이 출시되었습니다.

SM엔터테인먼트의 버블, 하이브의 위버스 등 팬덤 플랫폼의 성장과 함께 출시됐지만 엔씨소프트 유니버스만큼의 반응을 이끌어내지는 못했다.

한국, 일본, 미국 등 175개국에서 서비스를 제공했지만, 아티스트 부족으로 사업 유지가 어려웠다.

https://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bt/2024/08/19/621547_227433_3858.jpg

네오위즈

4. 그러나 네오위즈의 기대와 달리 네오위즈랩은 적자를 면할 수 없었습니다.

이번에 자회사를 매각한 이유는 계속된 적자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인수 당시인 2018년 약 2000만원의 순손실을 기록한 뒤 2022년에는 8억원, 2023년에는 4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해 적자를 줄이기는커녕 오히려 확대했다.

5. 네오위즈까지 팬덤 플랫폼에서 탈퇴하면서 위버스와 버블이 팬덤 플랫폼 시장을 양분했다.

특히 위버스의 독주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현재 위버스는 지난 6월 월실사용자(MAU) 1천만명을 회복했다.

그리고 다른 팬덤 플랫폼들이 시도했지만 실패했던 해외 시장 공략에 성공했다.

6. 반면, 버블은 위버스보다 해외 진출을 늦게 발표했다.

버블을 운영하는 법인 디어유(Dear You)는 지난 5월 미국 법인을 설립하고 발빠르게 현지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그리고 6월에는 일본에서도 서비스를 시작했다.

하지만 일부 아티스트가 다른 플랫폼으로 떠나는 등의 문제로 인해 유료 가입자는 늘지 않고 매출도 감소하고 있다.